로고

내포교회사연구소
로그인 회원가입
  • 알림·참여
  • 언론보도
  • 알림·참여

    언론보도

    [가톨릭평화신문][특집]재임 43년 한국교회 기틀 다진「뮈텔 주교 일기」 통해 본 한국천주교회와 근대사회 주제 심포지엄(201…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내포교회사연구소
    댓글 댓글 0건   조회Hit 403회   작성일Date 23-03-12 22:19

    본문

    [특집]재임 43년 한국교회 기틀 다진「뮈텔 주교 일기」 통해 본 한국천주교회와 근대사회 주제 심포지엄

    서울대목구 지도서, 교회생활 전반에 큰 영향... 교회조직 보호하려 항일민족운동과 거리 둬... 선교사 사명에 충실했지만 내적 발전 따르지 못해

    오세택 기자입력 2011.09.27.07:43 수정 2011.09.28.19:28

    f86f7bf1185254820fe982bff0f7b5f4_1678627114_1866.jpg
    왼쪽부터 최기영(서강대)ㆍ장규식(중앙대)ㆍ김태웅(서울대)ㆍ박찬식(제주대)교수, 종합 토론 사회를 맡은 노길명 고려대 명예교수, 내포교회사연구소장 김정환 신부, 부산가톨릭대 교수 한윤식 신부, 조현범 한국교회사연구소 책임연구원, 김수태 충남대 교수.

    200자 원고지로 3만 장에 이르는 방대한 분량의 「뮈텔 주교 일기」가 총 8권으로 완역 출간된 지 2년 만에 이에 대한 재조명작업이 이뤄졌다.

    (재)한국교회사연구소(소장 김성태 신부)는 9월 23일 서울대교구 명동성당 교육관에서 '「뮈텔 주교 일기」를 통해 본 한국 천주교회와 근대사회'를 주제로 심포지엄을 가졌다. 조선과 대한제국, 일제강점기에 귀스타브 샤를 마리 뮈텔(1854~1933, 파리외방전교회, 한국이름 민덕효) 주교가 쓴 일기를 토대로 당시 천주교회와 사회를 돌아보는 자리였다.

    심포지엄은 1890~1933년 43년간 조선ㆍ서울대목구장으로 재임한 뮈텔 주교 일기를 통해 당시 시대상과 한국천주교회 교세 변화 양상을 살피고, 「서울대목구 지도서」를 분석하고, 조선 말과 대한제국기 정세 및 선교사들의 인식 등을 새롭게 성찰했다.

    ▨뮈텔 주교 재임기의 교세 변화

    내포교회사연구소장 김정환 신부는 뮈텔 주교가 대목구장으로 재임했던 시기를 조선대목구 시기(1890~1910)와 서울ㆍ대구대목구 분리 이후 시기(1911~20), 원산대목구 분리 이후 시기(1920~33) 등 세 시기로 나눠 교세변화를 분석했다.

    첫 번째인 조선대목구장 시기엔 박해가 끝난 이후 선교가 활발해지면서 1만 7577명이던 신자 수가 20년 만에 7만 6843명으로 4.37배 급증하는 양상을 보인다.

    하지만 조선대목구가 두 개의 대목구로 나뉜 두 번째 시기엔 일제강점과 국내외 정세 변화, 교육사업 실패 등으로 선교가 위축되고 1차 세계대전으로 선교사들이 징집되면서 서울대목구는 현상유지도 버거운 정체 상태가 된다. 그래서 교세도 1912년 5만 2109명에서 1921년 5만 9761명으로 9년간 14.68%(7562명)늘어나는 데 그쳤다.

    원산대목구 설정 이후에도 선교 열의 감소로 교세는 1922년 5만 3574명에서 1933년 5만 7295명으로 11년간 3721명(6.95%)밖에 늘지 않았고, 두 대목구 분리로 서울대목구 교세는 상대적으로 위축됐다.

    조현범 박사는 토론을 통해 "뮈텔 주교가 작성했던 교세통계표나 신학생 통계 등은 대단히 정교한 만큼 이걸 몽땅 교회사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하고 그 변화를 추적해 당시 교회사를 연구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뮈텔 주교와 「서울대목구 지도서」

    부산가톨릭대 교수 한윤식 신부는 뮈텔 주교가 1922년 9월 21일자로 공포한 「서울대목구 지도서(Directorium Missionis de Seoul)」에 주목했다.

    한 신부는 "뮈텔 주교의 서울대목구 지도서 간행은 한국천주교회 성장 및 발전과 관련해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며, 그 이유는 서울대목구 지도서가 1923년 간행 뒤 서울대목구뿐 아니라 대구ㆍ원산대목구, 평양ㆍ연길지목구를 포함하는 한국교회 전체 신자들의 교회생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규범집이었다는 점을 들었다. 또 1932년 간행된 「한국교회 공동 지도서」에도 서울대목구 지도서의 많은 규정이 그대로 수용되거나 심화됨으로써 이후에도 계속해서 한국교회에 큰 영향을 미쳤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한 신부는 서울대목구 지도서 안에 제시된 다양한 규정들에 대한 연구가 기존의 각종 '한국교회 지침서'들과의 관련성 속에서 이뤄진다면 그 중요성은 자못 클 것이라고 전망하고, 이를 위해 서울대목구 지도서를 단순히 서울대교구의 옛 사목 규정집으로만 바라보는 시각에서 벗어날 것을 주문했다.

    김수태 충남대 교수는 "한국천주교회가 만든 여러 지도서는 당시 교회와 사회의 변화상을 잘 드러내는 중요한 문서들"이라며 "때문에 이를 여러 시각에서 잘 분석하고 이용한다면 더 많은 것을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조선 말ㆍ대한제국기 뮈텔 주교의 정국 인식과 대정치권 활동

    김태웅 서울대 교수는 당시 고종의 대프랑스 외교정책과 뮈텔 주교의 선교방향은 프랑스 정부의 동아시아 정책을 매개로 상호 부합될 수 있었다고 지적했다.

    그래서 뮈텔 주교는 반독립협회 노선을 걸으며 조선 왕실과 정치적 행보를 같이 하기도 했지만, 이런 활동은 한국천주교회의 성장을 가져오는 동시에 300건이 넘는 교안(敎案) 발생을 초래하기도 했다는 것이다.

    이후 뮈텔 주교의 활동은 러일전쟁과 교육계몽운동, 개신교와의 경쟁의식 등 국내외 정세 변동에 따라 왕실과 거리를 두면서 교육부문으로 옮아갔으며, 일제 강점 이후엔 통감부의 규제 속에서 교회조직과 재산을 보호하고 교육활동을 보호하기 위해 일제와 원만한 관계를 유지했고 항일 민족운동과는 거리를 뒀다고 분석했다.

    박찬식 제주대 교수는 "뮈텔 주교 재임 시기 교회는 '교민조약'(1899년)과 '교민화의협정'(1901년), '선교조약'(1904년) 등을 통해 신앙과 선교 자유를 법적으로 인정받고 정교분리에 합의했지만 이를 내세워 향촌사회와 대립하고 때로 치외법권의 행태를 보이기도 했다"며 "따라서 뮈텔 주교가 접촉했던 관료들과의 친분이나 교류 실상에 대한 미시적 연구가 심화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뮈텔 주교의 한국 인식과 한국 천주교회 : 「뮈텔 주교 일기」를 읽다

    최기영 서강대 교수는 뮈텔 주교 일기를 △정착과 확장 : 1890~1910 △정체와 순응 : 1910~1933 등 두 부분으로 나눠 살피고, 뮈텔 주교의 한국 인식은 '시혜적 애정'에 불과했다고 지적했다. 즉 뮈텔 주교의 한국과 한국인에 대한 애정은 선교사로서의 사명과 연결된 일종의 베풂이었다는 것이다.

    그래서 뮈텔 주교는 영혼 구제를 위한 신앙만을 강조했고, 민족정체성이나 독립운동에 대한 이해는 크게 부족했다고 분석했다. 뿐만 아니라 세계 천주교회의 보수적 흐름에 익숙해있던 뮈텔 주교와 선교사들은 한국교회의 토착화나 한국인 성직자 중심의 교회 형성, 평신도 지도층 양성 등에 무관심했다고 최 교수는 덧붙였다.

    그 결과 뮈텔 주교가 수장으로 자리하고 있던 시기에 외형적으로 한국천주교회는 성장을 하고 있었지만 내적 발전은 따르지 못했다고 진단하고, 그 부분은 뮈텔 주교 개인이 책임져야 할 부분도 없지 않겠지만 그게 바로 시대적 한계였다고 주장했다.

    장규식 중앙대 교수도 토론을 통해 "1907년 천주교와 개신교 교세 역전 문제를 다룰 때 당시 천주교가 서구문화 전파나 시대정신의 대변과 관련해 어떤 역할을 했고 그에 대한 뮈텔 주교의 입장은 어떠했는지 깊이 연구해야 할 듯하다"고 주문했다.

    오세택 기자 sebastiano@pbc.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